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애인활동지원사 교육기간 자격증 취득 실습 방법 급여

by 7소도시 2024. 11. 30.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돕고 사회적 참여를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직업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자격증 취득 방법, 급여 및 지역별 전망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교육기간 및 자격증 취득

장애인활동지원사 자격을 취득하려면 지정된 교육기관에서 일정 시간을 교육받고, 현장 실습을 완료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론 교육은 40시간(5일), 현장 실습은 10시간(2~3일)으로 구성됩니다. 이 과정은 전액 본인 부담이며, 표준 교육비는 약 15만 원입니다. 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등 관련 자격을 가진 경우 일부 교육 시간 면제가 가능합니다.

 

2. 실습 방법

현장 실습은 장애인 활동지원사로서의 역할을 이해하고 실제 업무를 체험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실습을 통해 서비스 제공 방식을 익히고, 다양한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교육이 끝난 후, 실습을 마친 뒤 자격시험에 합격하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3. 급여 전망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급여는 근무 지역, 경력, 근무 시간에 따라 다릅니다. 2024년 기준으로 시급은 약 14,020원이며, 중증 장애인을 지원하는 경우 추가 수당이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심야 시간과 공휴일 근무 시에는 추가 급여가 지급됩니다. 지역별 급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 초보자는 월 200만 원에서 220만 원 정도, 경력자일 경우 250만 원 이상 예상.
  • 부산: 월 190만 원에서 210만 원, 경력자는 230만 원 이상.
  • 대구: 월 180만 원에서 200만 원, 경력자는 230만 원 이상.
  • 경기도: 서울과 비슷한 수준으로 월 200만 원에서 220만 원, 경력자는 250만 원 이상.

 

4. 전망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수요는 한국의 고령화 사회와 장애인 복지 정책 강화에 따라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의 지원과 함께 직업 안정성과 처우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 직업의 전망은 밝습니다.

 

주요사업 | 경기도장애인복지종합지원센터

 

https://www.ggnurim.or.kr/PageLink.do?link=forward%3A%2FIntegratedServiceList.do%3FisCategory%3D2&menuNo=010000&subMenuNo=010200&tempParam1=&thirdMenuNo=010202

교육시간 : 총40시간 교육비 : 15만원 교육내용 : 사회복지와 장애인복지제도의 이해, 장애이해, 자립생활과 인간중심계획의 이해, 인권과 학대, 활동지원사 역할, 직업윤리 및 자기관리, 활동지

www.ggnurim.or.kr

 

장애인활동지원사는 단순한 직업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적 참여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됩니다. 이 직업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 분야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많습니다.